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9994
문제 설명
게임 캐릭터를 4가지 명령어를 통해 움직이려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U: 위쪽으로 한 칸 가기
- D: 아래쪽으로 한 칸 가기
- R: 오른쪽으로 한 칸 가기
- L: 왼쪽으로 한 칸 가기
캐릭터는 좌표평면의 (0, 0) 위치에서 시작합니다. 좌표평면의 경계는 왼쪽 위(-5, 5), 왼쪽 아래(-5, -5), 오른쪽 위(5, 5), 오른쪽 아래(5, -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ULURRD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7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 8번 명령어부터 9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이때, 우리는 게임 캐릭터가 지나간 길 중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게임 캐릭터가 움직인 길이는 9이지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8, 9번 명령어에서 움직인 길은 2, 3번 명령어에서 이미 거쳐 간 길입니다)
단, 좌표평면의 경계를 넘어가는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예를 들어, "LULLLL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6번 명령어대로 움직인 후, 7, 8번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다시 9번 명령어대로 움직입니다.

이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명령어가 매개변수 dirs로 주어질 때, 게임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여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dirs는 string형으로 주어지며,U,D,R,L이외에 문자는 주어지지 않습니다.dirs의 길이는 5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 dirs | answer |
|---|---|
| ULURRDLLU | 7 |
| LULLLLLLU | 7 |
문제 풀이
방문한 좌표가 아닌 새로운 경로를 탐색해야한다!
처음에 방문한 좌표만 계산했더니 오답이 나왔다.
경로는 `(x1, y1)` -> `(x2, y2)` 가 한 경로이다.
1. `(0, 0)` 에서 시작해 `move` 함수로 이동할 경로를 탐색한다.
2. `move` 함수에서는 다음으로 이동할 방향 `dir`로 이동한다. 단, 경계는 넘지 않아야 함.
3. 시작 경로인 `st`와 `next`를 해쉬 셋인 `lines`에 넣고, `next`를 다음 경로로 이동하기 위한 시작점인 `st`에 넣어 갱신한다.
4. 겹치지 않는 모든 경로가 들어가있는 `lines`의 크기를 출력한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static class Point {
int x, y;
Point(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
static class Line {
int x1, y1, x2, y2;
Line(int x1, int y1, int x2, int y2) {
if (x1 < x2 || (x1 == x2 && y1 < y2)) {
this.x1 = x1; this.y1 = y1;
this.x2 = x2; this.y2 = y2;
} else {
this.x1 = x2; this.y1 = y2;
this.x2 = x1; this.y2 = y1;
}
}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if (this == o) return true;
if (!(o instanceof Line)) return false;
Line l = (Line) o;
return x1 == l.x1 && y1 == l.y1 && x2 == l.x2 && y2 == l.y2;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Objects.hash(x1, y1, x2, y2);
}
}
public int solution(String dirs) {
char[] dirsList = dirs.toCharArray();
HashSet<Line> lines = new HashSet<>();
Point st = new Point(0,0);
for(char dir : dirs.toCharArray()){
Point next = move(dir, st);
if(next.x != st.x || next.y != st.y){ // 경계 넘어가면 st 그대로
lines.add(new Line(st.x, st.y, next.x, next.y));
st = next;
}
}
return lines.size();
}
public static Point move(char dir, Point st) {
int x = st.x;
int y = st.y;
switch (dir) {
case 'L': if (x > -5) x--; break;
case 'R': if (x < 5) x++; break;
case 'D': if (y > -5) y--; break;
case 'U': if (y < 5) y++; break;
}
return new Point(x, y);
}
}
새로 안 사실
`HashSet`은 `hashCode`와 `equals`로 동일한 객체인지 판단한다.
따라서, 아래 코드를 그냥 구현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st = next;
set.add(st);
- 이미 HashSet에 들어간 `st`를 수정하면, 좌표 값이 달라져도 같은 객체로 인식한다. 즉, 새로운 경로가 추가되지 않는다.
- HashSet에 Line 객체를 추가할 때,
- 먼저 `hashCode()`로 해당 위치(bucket) 검색
- 같은 `hashCode`가 있으면 `equals()`로 실제 동일성 확인
- 따라서 이 두 메서드가 없으면, 좌표가 같은 Line이라도 서로 다른 객체로 취급 → 중복 저장됨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로그래머스] PCCP 기출 문제 1번 - 붕대 감기 (0) | 2025.10.02 |
|---|---|
| [백준 - G4] 1744. 수 묶기 (0) | 2025.09.19 |
| [백준 - G5] 12904. A와 B (1) | 2025.09.15 |
| [백준 - G2] 1202. 보석 도둑 (0) | 2025.09.12 |
| [백준 - G5] 1931. 회의실 배정 (0) | 2025.09.12 |